부모가 아이 친구 관계를 바라보는 바람직한 자세
신체발달은 눈에 보이는데 뇌 발달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 마음의 변화로 체감한다
사회적 관계가 경험이고 또래관계로 이어지지만
부모에게 반항성으로 표현한다
아이가 성장하면서 스스로 원하는 걸 찾게 되다 보니 부모와의 갈등도 계속 증가하기 마련이다.
사춘기 때에는 위협적이지 않은 자극도 위협적으로 느껴진다
부자 vs 가난
공부 잘함 vs 공부 못함
잘생김 vs 못생김
팔로워나 짱으로
인체의 구조로 위계질서를 정한다
특히 또래관계에 모든 걸 걸고 믿고 친한 관계에서 갈등이 최고조가 되어 부정어로 당하면 자기부정으로 느낄 수도 있고 어릴 때 트라우마로 남을 수도 있다
경청과 공감이 제일 중요하다

대기자TV 소아청소년과 정신과 교수 김붕년/ 출처